-
[JAVA 문법 Step 4] - 클래스 자료형(Static 저장) 본문
728x90
반응형
이전에 배운거 복습해보겠습니다.
이제는 10.8이나 true, 20 의 자료형은 각각 무엇일까요???
- double, boolean, int 타입이 되겠습니다.
그럼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20도 저장하고 싶고 'A'도 저장할 수 있는 그런 타입이 있지 않을까요??
결론적으로 그런 자료형은 없습니다.
하지만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클래스 자료형'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MyVar를 보시면 int타입, char타입 둘 다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우린 이것을 Beans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main안에서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static을 이용하면 정말 편합니다.
이런식으로 .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 .은 연결 연산자로서 역할을 수행합니다.
MyVar안의 n1을 출력하라는 뜻이 됩니다.
이것은 이전 시간에 배웠던 stack, heap, static을 이번에 배운 것들을 대입시킨 결과입니다.
stack에는 main함수가 담기고(13~15번째줄) static에는 MyVar과 VarEx03이 담기고 그 안에는 n1,c1,main이 담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S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문법 Step 6] - 자바의 일반변수와 레퍼런스변수 (0) | 2021.11.26 |
---|---|
[JAVA 문법 Step 5] - 클래스 자료형(Heap 저장) (0) | 2021.11.26 |
[JAVA 문법 Step 3] - 자바의 자료형과 메모리 구조 (0) | 2021.11.26 |
[JAVA 문법 Step 2] - 자바의 자료형이란 (0) | 2021.11.26 |
[JAVA 문법 Step 1] - Static, Heap, Stack이란 (0) | 2021.11.2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