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J - JAVA] 1010 - 다리 놓기(DP, 조합) 본문
728x90
반응형
# 주소
https://www.acmicpc.net/problem/1010
# 문제
# 문제 해설 및 코드 리뷰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int N;
public static int 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ong[] arr = new long[n];
for(int i = 0; i < n; 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ystem.out.println(Combination(N,M));
}
}
public static long Combination(int N, int M){
//MCN
long son = 1;
long mom = 1;
if(N < M){
for(int i = M; i > M-N; i--){
son = son * i;
}
for(int i = N; i >= 1; i--){
mom = mom * i;
}
}
return son / mom;
}
}
처음 작성한 코드입니다.
누가봐도 조합 문제이기에 조합을 구현해서 적용시켰는데 이상하게 예제에 있는거로는 풀어지는데 정답만 제출하면 틀립니다.
뭐가 틀렸는지 아직도 모르겠어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시다면 말씀해주세요.
입력값의 경계값 분석에서도 다 작동하는데 정답만 제출하면 틀리네요 ㅎㅎ... 그래서 다른 사람의 코딩 풀이를 보고 참고해서 다시 코딩했습니다. 이 분은 long타입이라고 안하고 double타입으로 풀이했네요.. 이게 다른가???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int N;
public static int 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ong[] arr = new long[n];
for(int i = 0; i < n; 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ystem.out.printf("%.0f\n", Combination(M,N));
}
}
public static double Combination(int N, int M){
//MCN
double son = 1;
double mom = 1;
for(double i = N; i > N - M; i--)
son = son * i;
for(double i = M; i > 0; i--)
mom = mom * i;
return son / mom;
}
}
딱 하나 다른게 있다면 long, int타입이 아닌 double타입으로 풀이했습니다. 이클립스에선 둘 다 똑같이 작동하는데 왜 틀린지 모르겠네요 ㅎㅎ..
어떤 분은 조합의 성질을 이용해서 nCr = n-1Cr-1 + n-1Cr 의 성질을 이용하여 푸셨던데, 우리 학원 학생들이 마침 고2의 이항 정리 파트를 끝낸 참이여서 이렇게도 풀 수 있다는데에 감명 받았습니다.
점화식 파트기 때문에 그 분의 방식으로 푸는게 더 적합할지 모르겠습니다.
https://st-lab.tistory.com/194
여기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백준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 JAVA] 10162 - 전자레인지(그리디 알고리즘) (0) | 2021.10.25 |
---|---|
[BOJ - JAVA] 10773 - 제로(스택) (0) | 2021.10.24 |
[BOJ - JAVA] 2579 - 계단 오르기(DP, 점화식) (0) | 2021.10.20 |
[BOJ - JAVA] 1912 - 연속합(DP) (0) | 2021.10.18 |
[BOJ - JAVA] 1895 - 필터(슬라이딩 윈도우) (0) | 2021.10.1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