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55)
-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p'의 개수 2개, 'y'의 개수 2개로 같으므로 true를 return 합..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try hello world" "TrY HeLlO WoRlD" 입출력 예 설명 "try hello world"는 세 단어 "try", "hello", "worl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홀수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면..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a..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
이번 시간에는 스택과 큐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1. 스택(STACK)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스택은 자료구조에서는 무언가를 쌓는다라는 의미를 갖는 자료구조입니다. 후입선출(後入先出, Last In First Out; LIFO)의 자료구조라고도 불리우며 QUEUE와 달리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용도로 쓰입니다. 스택은 입력은 push, 제거는 pop을 이용합니다. peek는 Top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스택으로 데이터를 쌓아 올렸을 때 peek를 사용하면 가장 마지막에 삽입한 데이터가 출력되게 됩니다. 즉 쉽게 말해 스택은 일종의 바닥이 막힌 상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중에 넣은 물건이 위에 있으므로 먼저 꺼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택은 힙 영역 메모리에서 ..
이번 시간에는 합병 정렬(머지 정렬 또는 병합 정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삽입 정렬보다는 더 복잡하지만, 성능은 훨씬 좋아 자주 쓰이는 정렬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합병 정렬은 O(NlogN)이기 때문에 성능이 준수합니다. 다만 30개 이하의 숫자를 정렬할 때는 삽입 정렬과 별 차이도 없고, 정렬하는데 추가적인 메모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보통은 재귀 함수를 사용해서 만듭니다. 삽입 정렬보다 훨씬 더 어렵고 헷갈리니 차분히 따라오세요. 합병 정렬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에 속합니다. 유명한 수학자 폰 노이만이 개발했죠. 분할 정복이란 어떤 문제를 그대로 해결할 수 없을 때, 작은 문제로 분할해서 푸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것을 우리는 Divide and Conquer라고도 부릅니다. 합병 정렬은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