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백엔드 기술 정리/스프링 부트 (28)
-
이번엔 본격적으로 빌드를 해볼 것입니다. 콘솔창을 킵니다. (cmd창) 그리고 cd/를 입력하여 C드라이브 (프로젝트를 만들었던 위치)로 이동합니다. 원래 cd/ 라고 치시면 드라이브 밖으로 점점 나가지고 cd "폴더명" 이렇게 치시면 해당 폴더 안으로 들어갑니다. 저는 C드라이브의 workspace 폴더의 hello-project라고 입력하여 해당 폴더로 들어갔습니다. 이후 gradlew build라고 입력합니다. 만약 입력안되시면 java - version이라고 입력해보세요. 자바11밑으로는 아마 안될거에요. 꼭 자바11까지 설치하고 기존 자바는 삭제한 뒤,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에서 Path를 자바11의 bin폴더로 설정해주셔야 됩니다. (검색하면 전부 나옵니다. -> 자바 환경 변수 설정 검색 해..
이전 시간엔 스프링 부트를 최초로 IntelliJ를 통해 실행하는 것 까지 진행했습니다. 스프링부트에서는 최초로 도메인에 들어갔을 때 뜨는 페이지인 "Welcome Page"를 지원합니다. 이 Welcome Page 기능은 src / main / resources / static / index.html을 만드시면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문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https://docs.spring.io Spring makes Java simple. Level up your Java code and explore what Spring can do for you. spring.io 여기로 들어가셔서 springboot features라고 들어가시면 자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 html 파일은 ..
본격적으로 웹 개발을 하기에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발 툴 설치입니다. 옛날에 웹 개발 프로젝트를 잠깐 할 때에는 이클립스 + STS4를 설치해서 사용했지만 요즘은 IntelliJ를 주로 사용하는 추세인 것 같아서 IntelliJ로 복습겸 되짚어 보려고 합니다. 그러므로 스프링 부트를 처음 접하는 분들께서는 스프링 부트 2.6.1을 설치하시고 (gradle 버전) 오시길 바랍니다. 다 설치하고 라이브러리는 따로 설치하지 않았는데도 기본적으로 스프링부트에는 라이브러리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아파치도 있고,, 톰캣도 있고.. JUnit도 있고.. 스프링 부트 등등 무수히 많은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요즘엔 기본적으로 웹 개발을 하면 이정도 라이브러리는 땡겨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 작업은 g..
이번 스프링 부트 내용 관련 정리는 JPA와 관련해서 작성합니다. 1. 스프링부트는 일종의 웹,앱 개발을 위한 하나의 "프레임 워크"입니다. Frame은 틀, work는 동작하다(동사)인 것으로 비추어 보아 틀 안에서 동작한다 이런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단어 그대로,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이 틀을 벗어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신입 개발자들아. 내가 틀을 제공해줄테니까 너는 이 틀에 맞춰서 개발해. 그럼 너도 나처럼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거야" 이게 프레임워크입니다. 2. 또한 스프링 부트는 오픈 소스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소스 코드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스프링 부트를 공부하다가 내부를 너무 많이 공부해서 아주 깊숙히 알게 되면 이거 좀 불편한데? 생각이 들 때 ..